보컬 사운드를 두껍게 만들어주는 더블링 녹음 방법

보컬 사운드를 두껍게 만들어주는 더블링 녹음 방법

레코딩에서 '더블링'이라는 작업을 통해 보컬을 더 두껍고, 힘 있는 소리로 만드는 방법도 있다. 더블링은 믹스에서 보컬의 존재감을 부각시키기 위한 좋은 수단으로, 실제로 많은 악기 트랙이 혼재되어 있는 곡에서는 수많은 더블링과 코러스 트랙으로 보컬을 강조하곤 한다.

아이패드에서 쓸 수 있는 최고의 오디오 인터페이스 5가지

아이패드에서 쓸 수 있는 최고의 오디오 인터페이스 5가지

만약 아이패드용으로 적합한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면 집에서 임시 스튜디오를 꾸미거나, 공원에서 라이브 세션을 녹음하는 등 어디서든 전문가 수준의 오디오 작업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Logic Pro 11의 새로운 세츄레이터 ChromaGlow 사용법

Logic Pro 11의 새로운 세츄레이터 ChromaGlow 사용법

Logic Pro 11에 새로 추가된 ChromaGlow는 기본적으로 배음이 많아서 개별 트랙에 창의적인 왜곡 효과나 미세한 배음 향상 효과로 사용하거나, 마스터 버스에서 투명한 세츄레이터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청업체' 싱어송라이터

하청업체가 된 싱어송라이터

뉴진스, 에드 시런, 성시경 등의 커버곡은 많은 관객들의 호응을 얻는다. 하지만 커버곡을 부르는 사람도 자기 음원을 발표해 본 뮤지션일텐데, 무대의 대부분을 남의 노래로 채우는 것이 아무렇지도 않을까?

콘서트홀 음향학이야기 (5) 공간감

콘서트홀 음향학이야기 (5) 공간감

공간감은 일차적으로는 양옆의 측벽과 발코니에서 생기는 측벽 반사에 의해 생성됩니다. 이러한 공간감의 정도는 특정 콘서트홀이 다른 콘서트홀보다 더 좋은 사운드를 만들어 내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연애처럼 궁금하고 탐구하는 음악 하고 싶어' 래퍼 MUZIN(뮤진)

'연애처럼 궁금하고 탐구하는 음악 하고 싶어' 래퍼 MUZIN(뮤진)

"정규 2집에는 나와 결이 잘 안 맞을 수도 있는 사람과의 연애는 어떨까 생각하며 쓴 곡들을 담았어요, 어쩌면 상호보완이 될 수도 있고, 어쩌면 너무 안 맞아서 만날 수조차 없을 수도 있는 그런, 아무것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탐구하고 싶게 되고, 궁금해하는 소년의 입장에서 써본 이야기입니다."

Logic Pro 11 자동 연주 생성 기능 'Session Player' 리뷰

Logic Pro 11 자동 연주 생성 기능 'Session Player' 리뷰

Logic Pro에는 이전부터 Drummer라는 자동 드럼 트랙 생성 기능이 있었습니다. 단순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사용자가 원하는 드럼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이었는데요. 이번에 출시된 Logic Pro 11에서는 Drummer 기능을 키보드와 베이스까지 확장시킨 'Session Player'를 선보였습니다. Session Player는 드럼, 키보드, 베이스 연주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기능입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는 어쿠스틱 드럼, 일렉트로닉 드럼, 퍼커션, 베이스, 키보드, 패드까지 총 ... Read more

Logic Pro 11의 Stem Spliter 사용법과 편곡 활용 방법

Logic Pro 11의 Stem Spliter 사용법과 편곡 활용 방법

이번에는 Logic Pro 11의 새로운 기능인 Stem Spliter의 사용법에 대한 짤막한 설명과 함께 기존의 다른 음원 분리 기술과 간단한 비교도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Session Player와 결합해 편곡 용도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도 살펴보겠습니다.

하이패스 필터 음악적으로 활용하기

하이패스 필터 음악적으로 활용하기

하이패스 필터를 단순히 불필요한 저역대를 잘라내는 도구라고 생각하는 분도 많으실 텐데요. 하지만 하이패스 필터에 대해 잘 이해하고 활용하면 최소한의 조작으로 최대한의 음악적인 면을 끌어낼 수 있는 진가가 드러납니다.

헤드폰 믹싱의 중요성과 팁

헤드폰 믹싱의 중요성과 팁

헤드폰은 믹스 작업에서 나름의 강점과 약점을 동시에 지니고 있습니다. 섬세한 뉘앙스 표현에는 유리하지만, 동시에 과용의 위험 또한 크다고 할 수 있겠죠. 중요한 건 곡의 콘셉트와 스타일에 맞는 적정선을 찾아내는 것입니다.